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이동거리가 면적인 이유? 학원에서 저렇게 필기를 해왔는데 시간x속력은 거리니까 반을 나누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이동거리가 면적인 이유? 학원에서 저렇게 필기를 해왔는데 시간x속력은 거리니까 반을 나누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학원에서 저렇게 필기를 해왔는데 시간x속력은 거리니까 반을 나누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왜 삼각형 면적인지 모르겠고 첫번째 사진에서 가속도가 10이면 높이는 5미터라고 했는데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 10m 아닌가요 제가 어떤 착각을 하는것 같은데 자세히 설명부탁드립니다 ㅜ cont image
그 일단 기본적으로 말하면 그게 이동거리의 정의입니다. 속력은 이동거리를 시간으로 미분한거고 그걸 다시 시간으로 적분하면 당연히 이동거리가 되는거죠. 그리고 그 적분이란 과정이 그래프의 밑넓이를 구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이건 아직 안배우셨을 테니 쉽게 말하자면 가속운동에선 속력이 매 순간 변하기 때문에 한 순간의 속력은 말 그대로 한 순간의 속력일 뿐입니다. 그 속력으로 움직인 시간은 한 순간 밖에 안되는거죠.(미적분을 배우시면 dt라고도 표현 할 수 있죠)그래서 한 순간의 속력에 전체 시간을 곱하는건 말이 안되는거죠. 그 순간을 제외하면 그 속력으로 간 적이 없으니까요. 그렇다면 처음과 끋 사이의 모든 속력들의 평균을 구해서 전체시간을 곱하면 되겠죠. 만약에 일정가속도직선 운동을 하는 물체에서 처음 시작할 때 속력이 0이라고 하고 가속도가 a, 이동한 시간이 t라고 했을 때 속력은 at가 되고 처음 속력이 0이였으니 처음과 끝 속력의 평균을 내준다면(처음과 끝 만으로 알 수 있는 이유는 속력이 일정하게 변하는 일정가속도 운동이기 때문입니다) (0+at)/2로 1/2at가 나옵니다. 여기에 전체 시간을 곱해서 1/2at²가 나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