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방에 따로 공유기 설치하는 법  지금 거실에 통신사 공유기가 하나 있는 상태고 제 방에는 없고
 지금 거실에 통신사 공유기가 하나 있는 상태고 제 방에는 없고 벽에 랜선 포트가 하나 있습니다  제가 제미나이한테 물어봤는데 공유기 LAN이랑 벽쪽 랜포트랑 연결하고 또 공유기 LAN이랑 컴퓨터랑 연결하고 AP모드?? 브리지 모드로 바꾸라고 하더라고요이게 맞을까요 ?? 
안녕하세요. 인가남의 공식 지식파트너입니다.
요약하면, 방에 따로 공유기를 설치해 같은 네트워크로 쓰고 싶다면 공유기의 LAN 포트와 벽 랜포트를 연결한 뒤 공유기를 AP(또는 LAN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깔끔합니다. 제미나이가 말한 방법(공유기 LAN ↔ 벽 랜포트, 컴퓨터는 공유기 LAN에 연결하고 AP모드 또는 브리지로 변경)은 기본적으로 맞는 방향입니다. 다만 용어와 설정 방법에 따라 세부 절차가 달라지니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하세요.
1) 먼저 벽 랜포트가 무엇과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 노트북 등을 벽포트에 바로 연결해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하세요. 동일한 공유기(거실)와 같은 IP 대역(예: 192.168.xx.xx)이면 벽포트는 메인 공유기의 LAN 포트에서 내려온 것입니다.
2) 권장 설정 — AP(또는 LAN-to-LAN) 모드 (같은 네트워크 유지, 더 단순)
- 벽포트 ↔ 방 공유기의 LAN 포트(임의의 LAN 포트)로 케이블 연결
- 컴퓨터도 공유기의 다른 LAN 포트에 연결
- 방 공유기 관리자 화면에서 운영모드를 AP 또는 Access Point로 변경하거나, AP 모드가 없으면 DHCP 서버 기능을 끄고(Disable) 공유기의 LAN IP를 메인 공유기와 같은 서브넷에서 고정으로 설정(메인 DHCP 풀 범위 밖)하세요.
- 무선 SSID는 메인과 같게 하면 원활한 로밍이 가능하고(채널만 서로 다르게), 다르게 하면 독립적인 무선망이 됩니다.
3) 대체 옵션 — WAN 포트 사용(별도의 네트워크/라우팅이 필요할 때)
- 벽포트 ↔ 방 공유기의 WAN 포트 연결, 공유기에서 DHCP/라우팅 켜기
- 이렇게 하면 방 공유기가 별도의 서브넷을 만들며, 이중 NAT이 발생할 수 있어 게임/포트포워딩/원격접속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별히 별도 네트워크가 필요할 때만 사용하세요.
4) 브리지 모드 관련 주의
- 제조사마다 브리지(Bridge) 용어가 다릅니다. 어떤 제품은 무선 브리지(무선으로 다른 AP에 연결하는 기능)를 의미하고, 어떤 제품은 WAN↔LAN 브리지(모뎀과 공유기를 투명연결) 의미일 수 있으니 설명서를 확인하세요. 일반적으로 집 내부 연결에는 AP 모드 또는 LAN-to-LAN 방식이 권장됩니다.
요약 팁
- 같은 네트워크로 쓰려면: 벽포트 ↔ LAN 포트, DHCP 끄기 또는 AP 모드.
- 별도 네트워크로 쓰려면: 벽포트 ↔ WAN 포트, DHCP 켜기(이중 NAT 주의).
- 설정 후 인터넷/로컬장치(프린터 등) 연결을 확인하세요.
인터넷 가입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링크로 연락해 주세요.
http://pf.kakao.com/_qwqxkG/chat
365일 24시간 전화,채팅 상담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