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근염,백신부작용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매번 잘 배우고 있습니다다름 아니라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남겨요국내산
안녕하세요? 매번 잘 배우고 있습니다다름 아니라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남겨요국내산 돼지 같은 경우는 백신주사 부작용으로 인한 염증이나 백신형태같은 물질이 자주 발견되는데수입산 쇠고기 (미국,호주) 척아이롤,윗등심 쪽에도 가끔가다 백신 부작용,근염같은게 한번씩 보이더라구요1.국내산한우,돼지 같은 경우는 구제역 백신이 필수로 알고있는데 수입산도 구제역 백신이 필수인가요?2.돼지는 목심 쇠고기는 척아이롤, 윗등심쪽에 자주 발생되는데 쇠고기도 주사를 목쪽에 맞아서 그런건가요?3.근염의 기준과 원인(지방이 뭉친 자국에 보라빛? 또는 회색빛 근막같은게 있을때가 있고 염증이 있기도 하며 그냥 지방이 뭉처있는 경우도 있습니다)4.구제역 백신 부작용의 기준이 궁금합니다.(여드름?염증 자국이 있을때가 있고 메로나 처럼 초록색 물질 또는 하얀 우유처럼 구멍구멍 있을때가 있습니다)궁금한게 많아 질문드리며 매번 정확한 정보 잘 얻으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축산의 미래를 선도하는 축산유통 전문기관 '축산물품질평가원' 입니다.
1. 수입육의 경우 구제역 청정지위를 획득한 국가는 백신접종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 소의 경우에는 주로 어깨부위에 접종하기 때문에 등세모근(승모근)에서 가장 빈번하게 근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물론 소의 어깨부위는 위로 돌출된 형태이다보니 다른 요인(예를 들자면 축사시설 등으로 인한 창상, 싸움 등으로 인한 상처, 기타등등)에 의해 근염이 촉발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image image
구제역 백신접종 부위는 가이드라인에는 "소, 사슴, 염소는 어깨부위의 근육에 접종하고, 돼지는 목 부위, 귀 뒤 근육에 접종하십시오"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돼지의 경우 목심부위는 부가가치가 높은 부위인데 농양 등 결함이 발생할 경우 손실이 커서 요즘에는 대부분 엉덩이나 뒷다리 부위에 접종하고 있습니다.
3,4. 백신 등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결함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만 주로 근염과 농양형태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소에서는 근염으로, 돼지에서는 농양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근염의 형태는 근내지방처럼 생긴 형태부터 근육전체가 전부 지방으로 치환된 형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근염의 원인은 육성 비육시기에 근육의 상해(외상이나 창상, 부적절한 주사, 구충제 등의 부적절한 투여 등으로 근육에 상처가 나는 경우), 바이러스, 세균, 면역성 기전, 원충, 기생충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근염이란 근육염증이 아니라 근지방증 또는 지방치환육을 말하는 것으로
근섬유가 변성, 괴사하여 원래 근육이 있어야 할 자리에 대체결합조직, 즉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근육을 말합니다.
근염이 발생한 근육부위의 형상은 그대로 남아있지만 내부의 근육덩어리는 위축되고 지방으로 치환되며,
과도한 지방침착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근내지방도가 높은 것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부위와 달리 지방이 섞이는 형상이 극단적이며, 중증인 경우 근육이 거의 없이 모두 지방으로 치환되는 형태를 보입니다.
농양은 과립형태나 육아종형태부터 완전히 곪아 농이 발생한 형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농양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백신 등에 의한 부작용, 질병, 상처 오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최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원인이 백신 등에 의한 부작용 사례입니다.
돼지의 경우 성장단계별, 계절별에 따라 예방백신이나 주사 등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백신관리 소홀, 접종방법 불량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돼지 생체 내에 농양이나 결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www.ekape.or.kr)이나 축산유통정보 다봄(www.ekapepia.com)을 방문하시면 축산관련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상기 답변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으며,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