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글쎄, 이스라엘이 대 하마스와의 전쟁을 하고 있는데요, 하마스가 본거지 이외에 주변 국가로 숨어 들어도 이스라엘이 정밀 폭격을 통해 하마스 고위직들을 하나둘씩 제거하는 모습을 보면 과연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기독 자유 민주주의 이스라엘 이야 말로 이 땅에서 이슬람을 몰아내고 온 세상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파할 적임자가 아닐까 싶네요, 실로 이 보다 더 자유와 평화 그리고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그래서 이스라엘이야 말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선한 영향력을 온 세상에 구현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이전 예맨 공습할 때도 그랬는데 이번에 또 다른 나라 공습할 때도 보면 딱 필요한 건물에만 폭탄 떨어뜨리는데 보면서도 정말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이 아닌가 싶더라고요, 이번에는 특이한 것이 사우디아라비아 같던데, 타국의 영공을 통해서 날라가서는 정밀 폭격을 한거 같던데요, 아마 사전에 사우디아라비아와 영공 지나가는 것 협의한 것으로 보아 사우디아라비아도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주변 곳곳에 하마스나 불법 이슬람 무장단체가 많은 만큼 앞으로도 다른 나라 영공을 지나쳐 정밀 폭격하는 멋진 모습을 기대해도 좋을 것 같아요,그나저나 폭격 맞고 있는 입장에서는 거꾸로 이스라엘을 공격할 생각을 하긴 하는지 모르겠는데 그냥 간단하게 이스라엘 주요 도시에 핵 수십발만 떨구면 사실 뭐 게임 끝나는건데 안하는건지 못하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갈등은 매우 복잡하고 안타까운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의 분쟁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장기간 지속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되었습니다 . 이스라엘은 이에 대응하여 하마스를 소탕하기 위한 군사 작전을 수행해 왔습니다 .
전쟁이 지속되면서 양측의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가자지구에서는 많은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하고 인프라 피해도 심각한 상황입니다. 학교의 약 85%, 공공시설의 80%, 거주 시설의 60%가 피해를 입었으며, 가자지구 인구의 90%에 달하는 약 190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습니다 .
일부 하마스 최고 정치 지도자 암살 사건도 발생했으며 , 헤즈볼라나 후티 반군과 같은 이란의 지원을 받는 세력들이 하마스에 가담하여 이스라엘을 공격하기도 했습니다 . 이에 따라 중동 지역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하마스 파괴를 전제로 전쟁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 하마스 또한 민간인 피해에 대해 '일부 잘못'을 인정하면서도, 종전 협상은 지지부진한 상황이었습니다 .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2국가 해법'을 지지하고 있으나, 이스라엘 측은 이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 논의는 가자 전쟁으로 인해 난관에 봉착하기도 했습니다 . 이는 미국의 중동 외교 전략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
2025년 1월에는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가자지구 휴전과 인질 교환에 합의하였고 , 이후 휴전 합의를 승인하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여전히 긴장감이 지속되기도 했습니다 . 이스라엘 총리는 전투가 끝나가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지만 , 지역의 안보 상황은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 속에서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며, 국제사회는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