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제적등본 관련 저의 제적등본을 보니호주: 아버지그런데아버지 동생 중여동생(저에겐 고모)는 안나오고남동생(저에겐 작은아빠)만 나오는
제적등본 관련 저의 제적등본을 보니호주: 아버지그런데아버지 동생 중여동생(저에겐 고모)는 안나오고남동생(저에겐 작은아빠)만 나오는
저의 제적등본을 보니호주: 아버지그런데아버지 동생 중여동생(저에겐 고모)는 안나오고남동생(저에겐 작은아빠)만 나오는 이유는무엇일까요??-고모가 결혼을 해서 안나오는 건가요?-작은아빠는 결혼 하셨는데 아버지 호주 아래에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이럴경우 제적등본 상으로 만약 작은 아빠가 돌아가시면ㅈㅓ에게 채무 같은거에 있어 제적등본에 함께 기재되어있는 것만으로도 불이익이 있나요?
i
안녕하세요! "장영훈행정사"입니다,
제적등본 관련
저의 제적등본을 보니
호주: 아버지
그런데
아버지 동생 중
여동생(저에겐 고모)는 안나오고
남동생(저에겐 작은아빠)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1. 구 호적법이 시행당시 호적부가 작성이 되었는데, 호주를 중심으로 구성원이 있습니다, 당시 관련내용은 호적등본과 호적초본으로 발급되었습니다,
2. 호적제도에서 호주는 사망시 다음 순위 호주에게 호주승계(구 호주상속)이 되었습니다, 보통 장남에게 호주가 승계되었습니다,
3. 2008년 구 호적법이 폐지되면서 호적부와 호적제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현행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가족관계등록부와 가족관계등록제도로 대체가 되었습니다,
4. 호적법 폐지로 호적부는 제적부가 되고, 호적등본과 호적초본은 제적등본과 제적초본으로 발급됩니다,
-고모가 결혼을 해서 안나오는 건가요?
-작은아빠는 결혼 하셨는데 아버지 호주 아래에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1. 호적법이 시행중일때 여자가 혼인신고를 하면 기존 친정의 호적에서 제적이 되면서 남편의 호적으로 편제가 되었습니다,
2. 위 질문의 경우 부가 호주가 되기전 고모가 혼인신고를 하였다면 안나오게 됩니다, 호주가 할아버지인 전 제적등본을 발급해 보면 고모가 나올 수 있습니다,
3. 제적등본은 2007년 12월 31일까지의 기록이 나오는데 이때까지 작은아빠가 혼인신고르 하지 않았다면 나옵니다, 2008년 이후의 혼인신고라면 작은아빠의 가족관계증명서와 혼인관계증명서로 확인해야 합니다,
4. 호주승계시보다 고모가 먼저 혼인신고를 하였다면 부가 호주인 제적등본에 나오지 않고, 작은아빠는 미혼인 상태라면 호주가 부인 제적등본에 나오게 됩니다,
-이럴경우 제적등본 상으로
만약 작은 아빠가 돌아가시면
ㅈㅓ에게 채무 같은거에 있어
제적등본에 함께 기재되어있는 것만으로도
불이익이 있나요?
=>
1. 제적등본에는 2007년 12월 31일까지의 기록이 나옵니다,
2. 상속순위는 민법에 따르게 되는데
1순위 : 직계비속+배우자
2순위 : 직계존속+배우자
3순위 :형제자매
4순위 : 방계4촌
입니다,
3. 제적등본은 지금 가족관계증명서로 확인하여야 합니다, 작은아빠에게 1순위 부터 3순위 까지 상속인이 없다면 사망시 질문자님에게 상속순위가 올 수도 있습니다,